창업지원
청년 창업지원
1. 청년 크리에이터 아카데미
정책소개
로컬 컨텐츠(로컬창업) 및 디지털 컨텐츠 제작 경험을 통해 크리에이터로 성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대 상
북구 거주 및 활동청년
내 용
- 로컬 컨텐츠 분야
- 대 상 : 지역 내 예비창업자 또는 기창업자
- 청년창업컨설팅 1회
- 창업사례교육 1회
- 창업 레시피 개발 5~8주 과정
- 수료
- 대 상 : 지역 내 예비창업자 또는 기창업자
- 디지털 컨텐츠 분야
- 대 상 : 디지털드로잉에 관심 있는 청년
-
이모티콘/웹툰 등
디지털컨텐츠 제작입문 1회 -
나만의 컨텐츠
(이모티콘·웹툰 등) 제작 5~8주 과정 -
플랫폼(카톡, 네이버 등)
등록 및 상품화 약 2~3주 소요
-
이모티콘/웹툰 등
- 대 상 : 디지털드로잉에 관심 있는 청년
신 청
- 기간 : 2022. 4월
- 방법 : 온라인 - 북구 청년센터 홈페이지(/youth/)
문 의
- 북구 일자리정책과 청년정책팀 T. 410-8240
- 북구청년정책통합상담실 T. 410-8238
- 카카오톡 문의 @광주북구청년센터
2. 청년창업 실전코칭
정책소개
청년(예비)창업가의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선배 창업가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합니다.
대 상
북구 소재 청년(예비)창업기업 (만 19세~39세)
내 용
- (컨 설 팅) (예비)창업가 모집, 성공창업가 경험 및 노하우 전수
- (현장견학) 사업장 방문 시설장비, 운영 시스템 견학 등
- (실 습) 원데이 클래스 진행
신 청
- 기간 : 2022. 5월
- 방법 : 온라인 - 북구 청년센터 홈페이지(/youth/)
문 의
북구 일자리정책과 청년정책팀 410-6578
3. 스마트리빙랩 커뮤니티 지원
정책소개
주민 스스로 참여하여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지역사회 · 도시문제를 발굴, 해결하여 지속 가능한 공유 가치를 창출합니다.
대 상
북구 주민, 학생, 기업인 등으로 구성된 커뮤니티
내 용
- 리빙랩* 포럼 및 주민주도 커뮤니티 연구 · 실험 지원* 주민 스스로 생활 밀착형 문제 발굴 → 디지털 기술 기반 솔루션 도출
- (리빙랩 포럼) 우수사례 공유 등 커뮤니티 구성 및 과제수행 사전포럼 운영
- (과제비 지원) 커뮤니티 활동, 문제 발굴 및 솔루션 개발에 대한 재정적 지원
- (전문가 연계) 첨단기술 관련 전문가그룹 구성 및 과제별 자문 제공
- (지원금액) : 최대 10,000천원 ※ 과제 접수현황 및 과제규모에 따라 지원규모 변동 가능
신 청
- 기간 : 2022. 4월
- 방법 : 온라인(북구청 홈페이지)오프라인(북구 민생경제과) 접수
문 의
북구 민생경제과 전략산업팀 410-8476
4. 새(SE)청년 사회적경제 아카데미
정책소개
사회적경제의 의미에서부터 사회적경제기업으로의 창업까지 !
사회적경제에 관심있는 청년들을 위한 사회적경제 아카데미를 운영합니다.
사회적경제에 관심있는 청년들을 위한 사회적경제 아카데미를 운영합니다.
대 상
광주 북구 거주 청년(만19세~39세) 및 예비창업자
내 용
- 참여인원 : 30명
- 교육내용 : 사회적 경제 조직 창업 지원 및 역량강화 교육 등
- 기초교육(사회적경제기업 역할, 소셜미션의 이해, ESG 교육 등)
- 심화교육(사업아이템 발굴, 사업모델구축, 사업모델 미니 콘테스트)
- 추진일정
- 5월 참여자 모집
- 6월 ~ 9월 사회적경제 아카데미 운영
신 청
- 기간 : 2022. 5월
- 방법 : 수행기관을 통한 접수
※ 기타 일정 등 북구청 사회적경제 홈페이지 참조(사회적경제 홈페이지 바로가기)
문 의
북구 일자리정책과 사회적경제팀 410-6585
5. 청년창업농 영농정착 지원
정책소개
젊고 유능한 인재의 농업 분야 진출을 위한 청년 창업농에게 창업자금, 기술 · 경영 교육과 컨설팅, 농지 매매를 위한 영농정착금을 지원합니다.
대 상
- 연령 : 사업 시행연도 기준 만 18세 이상 ~ 만 40세 미만
- 영농경력 : 독립경영 3년 이하(독립경영 예정자 포함)
- 병역 : 병역필 또는 병역면제자
- 거주지 : 사업신청 시·군·광역시에 실제 거주(주민등록 포함)
내 용
- 지원내용 : 월 100 ~ 80만원 3년간 영농정착지원금 지원
- 지원금액 : 영농경력에 따라 차등 지급(1년차 월 100만원, 2년차 월 90만원, 3년차 월 80만원)
- 지급방법 : 농협 청년농업희망카드를 발급하여 바우처 방식으로 지급
- 자금용도 : 영농정착지원금(농가 경영비 및 일반 가계자금)
- 추진일정
- 1월 신청서 접수
- 2월 서면심사
- 3월 면접심사(市) 및 최종대상자 선발
- 4월 ~ 영농정착 지원금 지급
신 청
- 기간 : 2022. 1월
- 방법 : 온라인 - 농림사업정보시스템(Agrix)을 통해 직접 접수
문 의
북구 시장산업과 도시농업팀 410-6553
6. 창업기업 지원 서비스 바우처 지원
정책소개
창업 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사업 안정화를 도모하고자 창업기업 지원 서비스 바우처를 제공합니다.
대 상
만 39세 이하 창업자 중 3년 이내 북구 소재 기업
내 용
- ‘세무・회계・노무’, ‘기술보호’ 등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는 바우처 지원(최대 100만원 한도)
바우처 지원의 지원분야, 지원내용, 서비스 공급기관, 비고를 안내한 표입니다. 지원분야 지원내용 서비스 공급기관 비고 세무・회계 - 기장 대행 수수료
- 결산 및 조정 수수료
- 세무・회계 프로그램 구입・이용료 등
세무사, 회계사, 프로그램 공급업체 등 100만원 내에서 자유롭게 이용 기술임치 - 기술자료 임치 및 갱신 수수료
기술보증기금,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특허출원 - 등록가능성(우수기술) 및 중복성 검사 후 특허출원(선행기술조사 포함)
특허법률사무소 등 전문기관 KC 인증 - KC인증(안정인증, 자율안전, 공급자적합성) 등 인증획득 지원
전문기관 - 지원절차
-
참여자 모집
(4월)- 모집공고
- 참여자 선정
-
사업추진
(4~12월) 바우처 지원 -
사업 수행관리
(수시) 사업장 점검 -
사업 결과 보고
(12월)- 사업 결과 보고
- 사업비 지원
-
참여자 모집
신 청
- 기간 : 2022. 4월
- 방법
- 한국발명진흥회 광주지부(https://www2.ripc.org/regional/gwangju/main.do)
- 비즈북구(/biz/)
문 의
북구 민생경제과 기업육성팀 T. 410-8452
7. 공공임대주택 활용 청년창업 지원
정책소개
공공임대주택의 유휴상가를 활용해 청년 창업공간을 조성하고 성장지원 및 주민소통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공공임대주택에 활력을 주고자 합니다.
대 상
청년창업가 및 지역주민 등
내 용
- 입주 청년기업 선정(10개소)
- (오치1 마을공방) 공예분야 5개소
- (두암4 스마트타운) 정보통신기술 분야 5개소 ※ 각화주공 청년기업 기(旣) 입점 : 8개소
- 유관기관 연계 창업지원 인프라 구축
- 유관기관 네트워크 및 자원을 활용해 창업 컨설팅, 코칭, 시제품 제작, 홍보, 판로개척 등 지원
- 운영협의체 통한 중간평가 및 사업추진 점검
- 청년-주민 소통환경 조성
- 도예 및 의류 제작 클래스(오치1), 영상 제작 클래스(두암4) 등 주민 프로그램 운영
- 청년창업가 주도의 사회공헌활동 전개를 통한 지역주민과의 상생 프로그램 진행
신 청
- 기간 : 유휴공간 있을 시
- 방법 : 북구청 홈페이지(공고) 참고
문 의
북구 공공임대복지과 공공임대주택활성화팀 T. 410-8225
8. 대학타운형 도시재생 뉴딜사업 – 아이디어 팩토리 창업 지원
정책소개
쇠퇴한 지역에서 지역상권을 활성화하고 청년 창업기반을 마련하고자 대학 자산을 활용한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추진합니다
대 상
(예비) 창업자※ 우대사항 : 도시재생사업대상지 내 주민·상인, 전남대학교 학생, 광주북구 대학타운형 도시재생사업 프로그램 이수자
내 용
- 사업명 : 대학타운형 도시재생뉴딜 아이디어팩토리 창업지원
- 사업기간 : 2020 ~ 2023
- 사업장소 : 대학타운형 도시재생뉴딜 사업지, 행복어울림센터 등
- 지원내용 : 사업화 자금(1팀당 5천만원 이내), 창업특화 교육프로그램, 입주공간 지원(행복어울림센터 5층), 대학창업펀드 연계 투자지원
- 모집분야
아이디어팩토리 창업지원의 모집분야를 지원분야, 세부내용, 선정규모의 내용으로 안내한 표입니다. 지원분야 세부내용 선정규모 기술창업 유망기술보유, 교원/기술이전/실험실창업 등 5~7개사/년 로컬크리에이터 지역자원 활용한 아이템 창출 및 사업화 3~5개사/년 소상공인 일반 창업(요식업, 공방 등) 지역 소상공인 - 선정절차
-
모집공고
신청접수 -
1차 평가
서류평가 2배수이내 -
2차 평가
발표평가 10분발표 -
최종선정
협약체결 -
창업지원
사업수행
-
모집공고
신 청
- 기간 : 2022. 3월
- 방법 : 온라인(이메일) 또는 방문 접수(전남대 지역공헌센터)
※ 북구청 홈페이지 또는 전남대학교 홈페이지 내 모집공고 참고
문 의
- 북구 도시재생과 도시재생팀(062-410-6849)
- 전남대학교 지역공헌센터(062-710-0453)
- 대학타운형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062-511-0038)
9. 청년로컬크리에이터 거리 조성
정책소개
대학타운형 도시재생 권역에「청년 로컬 크리에이터 거리」를 조성하여 지역 상권 회복과 청년 문화 활성화를 도모합니다.
대 상
청년 및 지역주민 등
내 용
- 사업기간 : 2022년 ~ 2024년(3개년)
- 사업내용
청년로컬크리에이터 거리조성의 사업내용을 분야, 사업명, 추진내용, 추진일정의 내용으로 안내한 표입니다 분야 사업명 추진내용 추진일정 1. 청년유동인구유입 청년도전 지원사업 고용노동부 공모 신청 2022. 2월~ 청년도전 무한상상 프로젝트 아이디어 실현사업비 지원 2022. 2월~ 청년센터 활성화 프로그램 권역 내 집중 운영 연중 청년 프로그램 및 행사 유치 관련 부서 협업 회의 연중 청년 문화 정착 유도 공방 플리마켓, 청년주간 등 연중 K-Digital Platform 헬스케어 전문 교육훈련 등 2022~2026 2. 로컬크리에이터양성 로컬 크리에이터 네트워킹 소상공인 네트워크 구축 2022. 2월~ 크리에이터 육성 아카데미 로컬 창업 교육 프로그램 2022. 3월~ 크리에이터 창업 지원 전남대지역공헌센터 추진 2022. 3월~ 원주민과 상생협의 건물주와 상생 협약 등 2022~2023 3. 거리 디자인환경개선 사물 활용 일러스트 예술화 전남대지역공헌센터 공모활용 2022. 4월~ 정책홍보 인포빔 설치 청년센터, 교육관 등 2022. 4월 노후간판 정비, 청년친화공간 인증 전남대지역공헌센터 공모활용 2022. 4월~ 홍보 조형물, 포토존 설치 거리 활성화 정도에 따라 추진 2023~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