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모임 지원사업
마을모임 지원사업
마을모임 지원사업 (씨앗기)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의 첫번째 단계로, '씨앗기' 사업이라 불리는 이 사업은
마을공동체 사업을 처음 해보시는 새내기 마을 활동가분들께 추천하는 마을공동체 사업입니다. 마을 활동의 기본기를 탄탄하게 다지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신청자격 : 마을공동체를 지향하는 주민 5인 이상의 모임 또는 단체 활동지원 예산 : 사업별 1,000천원~2,000천원
마을공동체 사업을 처음 해보시는 새내기 마을 활동가분들께 추천하는 마을공동체 사업입니다. 마을 활동의 기본기를 탄탄하게 다지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신청자격 : 마을공동체를 지향하는 주민 5인 이상의 모임 또는 단체 활동지원 예산 : 사업별 1,000천원~2,000천원
씨앗 하나. | 마을공동체를 처음 시작하는 새내기 활동가, 마음 맞는 주민들(5명 이상)과 모임을 만들어 우리 마을을 위해 무엇을 하면 좋을지 고민을 해보세요. |
---|---|
씨앗 둘. | 선뜻 좋은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다면 북구마을만들기지원센터를 찾아 컨설팅을 받으며 아이디어를 함께 고민하는 것도 좋아요 |
씨앗 셋. | 앞서 마을에 첫발을 내딛은 새내기 공동체에선 마을 이야기 모임(마을의 역사, 이야기 찾기, 마을자원조사 등), 마을 알아보기 모임(마을 탐문조사나 설문조사 등을 통한 마을에서 하고 싶은 일, 공동체를 위해 해야 하는 일, 마을의제발굴), 소통 모임(공동육아모임, 부모모임, 함께하고 싶은 워크숍 등 친목을 쌓고 네트워크를 만드는 다양한 활동), 마을장터, 마을텃밭가꾸기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사업을 진행했답니다. |
씨앗 넷. | 좋은 아이디어가 떠올랐다면 차분히 사업계획서를 작성해보세요. 사업계획서는 북구마을만들기지원센터 홈페이지에 나와 있답니다. |
씨앗 다섯. | 새싹이 돋는 3월! 마을공동체지원 공모사업이 시작되는 시기예요! 이 시기에 맞춰 사업을 지원해보세요. |
세부추진계획
-
2월 마을봄봄워크숍
-
3월 마을공동체 지원사업 공모시기
-
4월 상상북구
마을미래학교 -
6월 마을공동체
상반기컨설팅 -
9월 마을공동체
하반기컨설팅 -
12월 정산 및
성과공유회
마을공동체 형성 사업 절차
-
마을봄봄워크숍(사전컨설팅)
-
사업계획서 작성
-
공모사업 지원
-
심사 및 선정
-
사업진행 및 상황검사, 컨설팅
-
사업평가 및 성과공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