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소개
주민과 함께하는 언제나 가족같은 북구북구 삼각동

연혁
- 조선후기 : 삼각동은 광주군 와지면에, 일곡동은 광주군 석제면에 속함
- 구 한 말 : 삼각동은 오치면으로 , 일곡동은 석제면에 속함
- 1914. 4. 1 조선총독부행정구역통폐합에 따라 월산,삼각,가작리는 삼각리로 광 주군서 방면에, 일곡, 일동리는 본촌면에 속함
- 1935. 10.1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되어 광주군은 광산군으로 변경되고 일곡마 을은 지산면에 속함
- 1955. 7. 1 광주시 풍향출장소관할 삼각리가 됨(광주광역시 확장에 따라 광산군서방면이 광주시로 편입되면서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풍향출 장소설치)
- 1957.11.6 광주시역2차확장으로 광산군 지산면 일곡지역이 시로 편입되어 일곡동이 됨.
- 1957.12.2 <서산동호칭개시> 오치동, 매곡동, 삼각동은 광주시 서산동이 됨. 일곡동은 지산출장소 본촌동관할 동이 됨
- 1961.3.10 출장소제로 변경되어 광주시 북부출장소 삼각동이 됨.
- 1973.7.1 구제 실시에 따라 삼각동은 광주시 동구로 편입되고 일곡동은 서구로 편입
- 1980.4.1 북구가 신설되어 삼각동과 일곡동은 광주시 북구로 편입
- 1985.10.2 시조례 제1380호(1985.10.2공포)로 본촌동 일곡마을 일부를 서산동에 편입
- 1986.11.1 광주가 광주직할시로 승격되어 전라남도행정구역에서 분리
- 1994. 7. 1 서산동과 오치동으로 분동
- 1997. 3. 1 서산동과 매곡동으로 분동
- 2003. 7. 7 서산동이 삼각동과 일곡동으로 분동
유래
대략 3백여 년 전에 성촌된 이 마을은 예로부터 논농사와 밭농사를 주업으로 살아오고 있다. 삼각산 서남쪽 등성이를 따라서 월산,삼각,가재미 마을이 자리하고 있으며 북으로 초목골, 동으로 칙택골과 수량골, 남으로는 고문곳등과 대행골에 둘러 싸여 있는 삼각마을은 서면의 번짓들,청룡들을 생활터전으로 삼았다. 어귀에 선바우가 우뚝 서 있고, 사기점이 있는 점촌인 월산 북녘에는 순산골,철툇골이 있다. 월산마을에서는 장운동으로 넘어가는 길목에 장등재가 있다.본래 광주군 오치면 지역으로서 삼각산 밑에 위치하므로 삼각이라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폐합에 따라 월산(月山)리, 외촌(外村)리, 가작(佳作)리를 병합하여 삼각리라 해서 서방면에 편입되었다가, 1955년 7월 1일 광주시에 편입되어 서산동의 관할이 되었으며, 전쟁직후인 1953년에 원삼각마을 큰암골 일대에 향토사단이 들어서면서 이주변 대부분의 땅이 군사개발제한구역으로 묶인 이후 사격장에서 군인들이 총과 대포쏘는 소리를 은유하여 "설장고에 거문고 울린다"라는 말이 생겼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