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행정복지센터

주민과 함께하는 언제나 가족같은 북구북구 문화동
주민과 함께하는 언제나 가족같은 북구, 북구 문화동

연혁

  • 조선후기: 광주군 편방면
  • 구한말 : 오치면 송정 문산리, 두방면 각화리
  • 1914.04.01 :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서방면 문흥리와 각화리
  • 1935.10.01 : 광산군 서방면 문흥, 각화리가 됨
  • 1955.07.01 : 광주시 풍향출장소 관할 문흥동, 각화동이 됨
  • 1957.12.02 : 본청직할의 문화동(文化洞)이 됨. 문흥(文興). 각화(角化), 두암동(斗岩洞)은 문화동(文化洞) 관할 법정동이 됨
  • 1961.03.10 : 북부(北部) 출장소 관할이 됨
  • 1973.07.01 : 구제(區制) 실시에 따라 동구관할이 됨
  • 1980.04.01 : 신설된 북구 관할이 됨
  • 1985.11.01 : 문화동에서 두암동이 분동 됨
  • 1986.11.01 : 광주직할시 북구 문화동이 됨
  • 1995.01.01 : 광주광역시 북구 문화동이 됨
  • 1995.03.01 : 문흥지구와 우산주공아파트 지역 일부가 문화동에서 분동되어 문흥동이 됨

유래

문화동(文化洞)은 무등산(1,187 m) 지맥인 군왕봉(356 m)과 세자봉으로 이어지는 산울타리 서녘에 안겨있는 곳이다.
문흥동(文興洞)의 '문'자와 각화동(角化洞)의 '화'를 따서 1957년 처음으로 부르게 된 '문화동'은 각화마을 주변에 백제시대 석실분(石室墳)과 봉토분(封土墳)의 유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역사와 전통이 있는 유서 깊은 마을이다.
문화동은 각화(角化)·평교(平郊)마을로 형성된 지역으로 1980년대 택지개발과 함께 동문로가 확장되어 고속도로와 연결되면서 광주 동북방면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는 교통의 요충지이며, 화물 터미널, 농산물 도매시장,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급속히 도시화된 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