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약가계부
북구 재정여건 및 전망
세입전망
- 거리두기 해제, 소득여건 개선 등에 힘입어 수수료 수입, 공공시설 사용료 등이 점차 예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기대됨
- 재정분권에 따른 지방소비세율 인상으로 지방소비세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나, 종합부동산세 세제개편으로 부동산 교부세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 포용적 경제회복, 경제사회 구조 전환 및 인구구조 변화 대응 등을 위한 지출 소요 확대 전망으로 보조금 증가 예상
최근 5년간 자체 및 이전수입 신장추이
(결산기준, 단위:백만원, %, 일반회계+특별회계)
구 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평균신장율 |
---|---|---|---|---|---|---|
계 | 646,278 | 718,633 | 839,832 | 1,128,874 | 1,188,654 | 16.9% |
자체수입 | 94,679 | 99,623 | 107,103 | 116,435 | 122,083 | 6.6% |
이전수입 | 477,944 | 539,339 | 639,471 | 914,083 | 951,840 | 19.6% |
지방채 및 예치금 회수 등 |
73,655 | 79,671 | 92,258 | 98,356 | 114,731 | 11.8% |
세출전망
- 인구 감소,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기초연금 대상자 수 증가, 기초생활보장제도, 의료급여 등 사회안전망 확충으로 세출 수요 증가될 전망
- 인건비, 공공운영비, 시설운영비 등 경직성 경비는 매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고물가로 인한 생활SOC, 도시재생 사업 등 주요 현안사업의 재정 소요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