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수박
무등산 수박

무등산 수박은?
무등산 수박마을 전경과 크기나 맛의 풍부함이 과실 중에 으뜸으로 손꼽혔으며, 많은 여름 과실들이 제철을 만나 기세를 부리는 것이 아니꼽다는 듯 9월 중순이 지나야만 열리는 채소입니다.
- 재배지역 : 충효동 금곡동
- 재배현황 : 11호-3.2ha
- 연간판매량 : 2,000~3,000통
- 연간조수익 : 1억 5천만원
무등산 수박은?
- 과피색은 진초록이며 무늬가 없다.
- 모양은 타원형으로 10~30kg의 대형 과실
- 과피가 두텁고 탄력성이 강하여 수송이 용이
- 종자는 크고 백색이며 눈에 검은점
- 전통적인 재배방법의 보존에 따라 천연적이고 자연적인 맛을 함축
- 특히 감칠맛의 느낌이 오래 지속.
- 차게해서 드시면 맛이 한층 더 합니다.
무등산 수박의 우수성
무등산 수박은 광주의 대표적인 지역특산물로서 전국에 각광을 받고있으며, 인근지역에서 무등산 수박을 재배하게 되어 우리지역 특산품 보존을 위한 상표 및 의장을 등록하여 제3자의 권리침해를 사전에 예방코자 함
무등산 수박의 희귀성
무등산 이외의 지역에서는 전혀 생산되지 않으며 무등산내에서도 경작조건이 맞는곳을 찾기란 매우 어렵습니다. 또 한 포기에 하나의 무등비과 밖에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귀하고 신비스러운 과실입니다.
무등비과의 신비성
한 번 경작한 땅에서는 인삼과 같이 3년이 지나 지력이 회복되어야만 다시 재배할 때 지켜야 할 금기사항도 많습니다. 결실기가 가까워지면 재배하는 사람이나 가족들은 상가에 가서는 안되며, 상중에 있는 사람들도 밭에 절대로 들어와서는 안됩니다.
재배방법의 특수성
평지가 아닌 해발 300m이상의 무등산 기슭의 경토가 깊고 통기성이 좋은 사질양토의 경사지를 선택한 후, 지름 1m, 깊이 1.2m이상 파야 합니다. 이때 화학비료를 사용해서는 안되고 완숙한 퇴비나 유기질 비료만을 사용해야 합니다.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부서
- 시장산업과
- 담당자
- 최민영
- 연락처
- 062-410-6559
최근업데이트
2021/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