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미세먼지 30㎍/㎥ 좋음
초미세먼지 17㎍/㎥ 좋음
인기검색어

더불어복지

여성친화도시란?

지역정책과 발전과정에 남녀가 동등하게 참여하고, 그 혜택이 모든 주민들에게 고루 돌아가는 모두가 행복한 도시 2011. 12. 여성친화도시 지정(여성가족부)

여성친화도시 노래 “신명나는 여성친화 광주 북구” 창작

평등·건강·안전·나눔 공동체인 여성친화도시 북구를 희망하고 조성해 나가자는 메시지를 보다 주민 친화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노래 제작(2016. 6.)
황성호 작곡/ 오미란 작사/ 안수경 노래

비전 및 목표

여성의 참여와
성평등 실현으로
모두가 행복한 북구
  • 평등북구성 평등한 도시
    • 성평등정책 추진기반 구축
  • 넉넉북구넉넉한 경제도시
    • 여성의 경제․사회 참여 확대
  • 안전북구안전하고 편리한 도시
    • 지역사회 안전 증진
  • 가족친화북구가족친화도시
    • 가족친화 환경 조성
  • 참여북구여성 참여 증진 도시
    • 여성의 지역사회활동 역량 강화

10대 정책과제

  • 마을공동체 성평등 기반 강화
  • 행정내부 성평등 증진사업 (통합)관리
  • 여성친화적 공공공간 조성 활성화
  • 여성 취‧창업 촉진
  • 일‧가정 양립 실현
  • 우리마을 우리이웃, 다 같이 본다
  • 여성친화마을 성평등 특화마을 조성
  • 여성친화의 거점 구축
  • 여성친화 주민공동체 네트워크 운영
  • 여성친화플래너 DB 구축

추진체계

추진근거

  • 양성평등기본법 제39조(여성친화도시)
  • 광주 북구 양성평등 기본 조례
  • 광주 북구 여성친화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
  • 광주 북구 성별영향평가 조례

전담조직 설치

  • 여성친화도시 조성사업 총괄
  • 여성친화도시 정책개발 및 홍보
  • 여성친화도시 조성계획 수립

특화사업 추진

  • 지킴·채움·나눔의 골목길 조성
  • 생생통통 꿈꾸는 여성들의 유쾌한 나들이
  • 여성가족친화마을센터(양산동, 일곡동) 구축
  • 여성친화마을조성추진(중흥1동, 매곡동, 양산동, 임동, 건국동, 동림동, 운암3동)

여성친화시민참여단

  • 구성 : 4개 팀 45명(2013. 7. 제1기 여성친화도시 시민참여단 창단)
  • 기능 : 여성친화정책 제안, 현장 모니터링, 여성친화도시 홍보활동 등

여성단체협의회

  • 구성 : 1990년 구성(7개 단체), 2015년 4월 재구성(14개 단체)
  • 단체 및 회원 수 : 20개단체, 3264명
  • 기능 : 북구 여성의 권익신장과 지위향상 및 양성평등 실현을 위해 여성 단체 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지원 강화

여성친화도시협의회(양성평등위원회)

  • 구성 : 1990년 구성(7개 단체), 2015년 4월 재구성(14개 단체)
  • 기능 : 여성정책․여성친화도시조성 수립 등에 관한 사항 심의의결 및 자문

성별영향평가위원회

  • 구성 : 14명(당연직 5, 위촉직 9)
  • 기능 : 대상사업 선정 및 결과에 따른 정책개선에 관한 사항 심의

주요성과

주요성과를 날짜와 상세내용과 함께 제공합니다.
2010. 1. 북구 여성발전기본조례(여성친화도시 조성에 관한 기본조례) 제정
2011. 10. 전담부서 여성친화정책팀(5명) 신설
2011. 12. 1단계 여성친화도시 지정(2012~2016)
2011. 12. 여성친화도시협의회 구성
2013. 7. 여성친화도시 시민참여단(서포터즈 창단 및 위촉)
2013. 9. 여성가족부 여성친화도시 우수사업(지킴․채움․나눔 골목길 조성) 선정
2014. 6. 여성가족부 여성친화도시 우수사업(생생통통 꿈꾸는 여성들의 유쾌한 나들이) 선정
2014. 9. 여성친화도시 조성 국무총리 표창
2016. 7. 전국 최초 「신명나는 여성친화 광주 북구」 노래 창작
2016. 12. 2단계 여성친화도시 재지정(2017~2021)
2018. 11. 광주광역시 양성평등정책 평가 4년 최우수기관 선정(11년 연속 (최)우수기관 표창)
2019. 1. 여성친화도시조성 대통령상 표창
2021. 9. 성별영향평가 추진 우수기관 국무총리 표창
2021. 12. 3단계 여성친화도시 재지정(2022~2026)
2022. 1. 북구여성행복응원센터 거점센터 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