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소식
[2022 북구마을미래학교]사회적 경제 기반 교육
- 작성부서마을만들기 지원센터
- 작성일시2022/08/31 09:32
- 조회수73
협동조합, 사회적 기업, 사회적 경제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사회적 경제란, 일자리 창출을 비롯한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수행하는 경제활동을 의미하는데요. 사회적 기업은 이익 창출 활동을 넘어 일자리, 주거, 육아,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기업으로, 고용노동부 장관의 인증을 받은 기관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마을에서도, 마을을 관리하기 위한 협동조합이 설립되기도 하는데요. 마을기업으로 수익창출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주민들에게 제공하고,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을 받기도 한다고 합니다. 마을을 관리하거나 마을 주민들과 지속적으로 활동을 하기 위해 마을기업을 세우는 것도 좋은 방법인데요. 북구마을만들기지원센터에서는 주민자치(위원)회 및 마을공동체의 성장을 위해 2022 북구마을미래학교 심화과정으로 <사회적 경제 기반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이번 교육은 한국사회적경제문화연구소 박철 소장님께서 맡아주셨는데요. 협동조합과 사회적 분야에서 컨설턴트로 활동하신 경험을 바탕으로 혐동조합과 사회적 경제에 대한 개념부터 마을기업, 마을협동조합으로서 어떤 활동을 해야 할지, 활동 방향에 대한 것까지 알아볼 수 있는 알찬 강의를 해주셨답니다!
마을에서 협동조합을 만들어야 할지, 사회적 기업으로 활동해야 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았는데요. 먼저 협동조합이란 무엇인지, 사회적 기업이란 무엇인지 개념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협동조합은 조직의 형태로,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5인 이상이 모여 중앙부처의 장에게 인가 및 설립등기를 거쳐 설립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기업은 복지,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 등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동시에 기업으로서 수익을 창출하는 조직을 의미하는데요. 일정한 요건을 갖추면 고용노동부 장에게 인증을 받는 것으로서 협동조합이나 마을기업을 설립한 후 고용노동부의 절차에 따라 ‘사회적 기업’이라는 인증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마을에서 협동조합을 설립하여 활동하고, 사회적 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어떤 사업을 해야 할지 알아보았는데요. ESG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ESG란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함께 일컫는 말로, 기업의 목적인 영리 추구 외에도 기업 경영에서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3가지 핵심 요소인데요. 기업이 사회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환경에는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등 소비자가 기업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합니다.